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교육부 2025년 추진계획
    정책정보 2025. 2. 5. 19:38
    반응형

    기회의 사다리가 되는 교육 실현

     

    단계적 무상교육·보육 실현

     

    유아교육·보육에 대한 국가책임 강화 학부모 양육비 부담 경감을 위해 ’27까지 3~5 단계적 무상교육·보육 실현

     

    - 유아교육비·보육료 추가지원(5만원) 대상을 기존 5에서 4까지 확대*하고(’25), 학부모 양육비 부담 해소를 위한 노력 지속 추진

     

          * 추가지원(5만 원) 총 예산 : (’24) 173,539백만원 (’25) 327,160백만원

    늘봄학교 전담 운영 체제 안정화

     

    늘봄지원실장*(’251,500여명, ’261,000여명)늘봄실무인력(학교별 1명 이상) 중심 업무 전담 체제를 안정화하여 교사의 늘봄 행정 부담 해소

     

         * 늘봄지원실장 겸임 또는 미배치교를 중심으로 늘봄지원센터 행정 지원 강화, 한시적 정원 외 기간제교사 배치(’251,080) 등을 통한 인력 보완 대책 마련추진

    고교 내신 5등급 체제 전환으로 평가 내실화

     

    ’25년 고1부터 내신 9등급제5등급제*로 개편하여 학생간 과잉경쟁해소하고 평가 자체보다는 학습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1등급(10%) - 2등급(24%, 누적 34%) - 3등급(32%, 누적 66%) - 4등급(24%, 누적 90%) - 5등급(10%, 누적 100%)

     

    - 대입에 필수적인 변별력확보하기 위해 고교 전 과정에 대해 절대평가(A~E) 등급과 함께 상대평가 5등급병기하여 대학제공

     

    절대(성취)평가 안착 서술형 평가 확대 등을 이끌 선도교원 양성(1,000, 1,000)하여 신뢰도 높은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지원

    지원 범위 확대로 평생학습 접근성 제고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분야디지털·노인 분야신설하여 사회 변화에 대응하고, 저소득층·장애인에 대한 평생학습 지원강화

     

    평생교육이용권(’24. 8만명 ’25. 11.5만명) : (디지털) AID 커리어점프 패스 1만 명, (노인) 0.8만 명, (장애) ’24. 0.9만명 ’25. 1.2만명, (일반) ’24. 7.1만명 ’25. 8.5만명

     

    고용노동부 국민내일배움카드와 교육부 대학생 1-평생학습 1계좌를 연계하여 대학생의 사회 진출 전 미래 직업 능력개발 지원

     

    AID 선도대학(100)지정하여 대학이 성인 맞춤형 AI·디지털 교육과정 마련하고, 성인이 원하는 대학에서 재교육·향상교육을 받도록 운영

     

    전문대학을 직업교육 거점기관으로 육성

     

    3주기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25~’27)을 통해 사회 변화에 대응한 고등직업교육 기반내실화하여 학생들지역주민의 교육기회 확대

     

    교육부-고용노동부 협업을 통해 개별 전문대학강점을 가진 특성화 분야산업현장 인력 양성 수요에 부합하는 직업훈련 개설 확대

    대학생 주거비 부담 완화

     

    저소득층(기초차상위)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거안정장학금신설하여 연 최대 240만원 지원 추진 주거안정장학금 예산 : 34,435백만원

     

    ’24년 착공한 4개의 연합기숙사(서울 3개소, 인천 1개소) 공사차질 없이 진행하여 저렴한 월세양질의 주거환경 제공

     

    용산한체대 연합기숙사(’26.2. 완공), 서울과기대인천대 연합기숙사(’27.2. 완공)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