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힉스의 단체교섭 이론 핵심 개념 자료
    직업상담_자료 2022. 4. 11. 20:06
    반응형

    힉스의 단체교섭이론(Hicks’s Theory of Collective Bargaining)은 노동조합과 사용자 간의 임금 협상에서 **파업(strike)과 타협(settlement)**의 결정 요인을 설명하는 고전적인 경제학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존 힉스(John Hicks)**가 1932년에 발표한 『임금 이론(The Theory of Wages)』에서 제시되었습니다.



    🔍 힉스의 단체교섭이론 핵심 개념

    1. 파업 발생의 경제적 기반

    • 힉스는 **파업(strike)**이란 단순한 감정적 반응이 아니라, 합리적인 경제적 판단의 결과라고 봤습니다.
    • 노동자와 사용자가 각자 자신에게 가장 이익이 되는 시점을 계산하여 행동한다고 보았습니다.



    2. 저지점(resistance point)

    • 협상에서 각 당사자가 최대한 양보할 수 있는 한계선을 의미합니다.
    • 노동자: 이 이하의 임금은 받아들일 수 없다.
    • 사용자: 이 이상의 임금은 줄 수 없다.
    • 이 두 지점 사이에 **타협가능한 구간(zone of agreement)**이 존재하면 협상이 성립합니다.



    3. 파업의 지속과 비용

    • 힉스는 파업의 지속 여부는 각자의 손실 비용에 달려 있다고 봤습니다.
    • 노동자는 소득 상실과 생활비 부담이 크면 빨리 협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습니다.
    • 사용자는 생산 중단에 따른 손실이 커지면 빨리 타협하려 합니다.



    4. 예상 협상결과(anticipated settlement)

    • 노동자와 사용자는 상대방의 저지점과 파업 비용 등을 고려하여 예상 협상 결과를 추정하고,
    • 이 예상 결과가 현재 협상을 지속하는 것보다 유리하다고 판단되면 합의에 도달합니다.



    ⚖️ 힉스 이론의 의미

    • 파업은 비이성적 결과가 아니라 합리적 경제 선택임을 보여줍니다.
    • 단체교섭의 본질은 비용-편익 분석에 따른 전략적 행동입니다.
    • 협상력은 각자가 감수할 수 있는 손실의 크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 현대적 시사점

    • 힉스의 이론은 이후 게임이론적 협상이론, 협상 시나리오 분석, 파업 지속 예측 모델 등에 기초가 되었습니다.
    • 단체교섭에서 파업을 단순히 회피할 것이 아니라, 파업의 조건과 결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 힉스 단체교섭이론의 그래프 구조

    ① X축: 시간 (파업 기간 또는 협상 경과 시간)

    ② Y축: 각 당사자의 경제적 손실 또는 이익

     



    📈 주요 곡선 2개

    1. 노동자의 손실 곡선 (Workers’ Loss Curve)
    • 오른쪽으로 갈수록 상승
    • 이유: 시간이 지날수록 임금 손실, 생계 부담이 커짐
    • 따라서 파업이 길어질수록 노동자는 점점 더 손해를 봄

    2. 사용자의 손실 곡선 (Employers’ Loss Curve)
    • 왼쪽에서 시작해 서서히 올라감
    • 이유: 초기에는 재고 등으로 버틸 수 있지만, 시간이 길어질수록 생산 중단, 수익 손실이 커짐
    • 파업이 길어질수록 사용자도 손실 증가



    📍 그래프에서의 타협점 (Settlement Point)
    • 두 곡선이 교차하거나 가장 손실이 적은 지점에서 협상이 성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 지점은 양측의 저지점(resistance point) 사이의 타협선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이 지점은 서로의 파업 지속 능력, 손실 감내 능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 해석 요약

    요소 의미
    노동자 손실곡선 파업이 길어질수록 생활고와 임금손실이 커짐
    사용자 손실곡선 시간이 지날수록 생산 차질 등으로 손실 증가
    교차점 or 접점 양측의 손실이 가장 작아지는 협상 타이밍 (합의 가능 시점)





    📌 실제 적용 예시
    • 노동자가 파업 비용을 감내할 여력이 적다면?
    → 그래프에서 노동자 손실곡선이 더 가파름 → 조기 타협
    • 사용자가 공급망 압박 등으로 타격이 크다면?
    → 사용자 손실곡선이 더 가파름 → 사용자 쪽에서 빨리 양보



    Q. 힉스 J.R.Hicks 의 단체교섭이론을 그래프로 그리고 간략히 설명하시오

    출처 : 에듀윌 직업상담사2급 2차 기출문제집

     

     

     

     


    #독학 #나혼자공부한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