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업심리학/심리검사의 개발독학_직업상담사 2022. 3. 22. 16:34반응형
43. 심리검사 제작을 위한 예비문항 제작시 고려해야 할 3가지 / 문항분석 21-2문항의 난이도(곤란도) 문항의 쉽고 어려운 정도 문항의 변별도 높은 점수와 낮은 점수를 구별 할 수 있는 변별력 문항의 추측도 능력이 없음에도 문항의 답을 맞힐 확률 오답의 능률도 오답지를 정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
44. 심리검사에서 흔히 사용되는 전통적 척도화 방식응답자 중심 방식
자극 중심 방식
반응 중심 방식
45. 객관적 검사와 투사적 검사 21-2 장,단점객관적 검사 = 구조적 검사 공통된 특성이나 차원을 기준으로 개인들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목적 장점 신뢰도와 타당도 수준이 높음
검사의 시행,채점,해석이 용이함
검사자의 객관성이 보장됨단점 사회적 바람직성 등의 영향 받음
감정이나 신념, 무의식적 요인에는 한계가 있음
문항 내용 및 응답의 범위가 제한됨투사적 검사= 비구조적 검사 개인의 독특한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목적 장점 수검자의 독특한 반응을 이끌어냄
솔직한 응답을 유도함
심리적 특성 및 무의식적 요인이 반영됨단점 신뢰도와 타당도의 검증이 어려움
채점 및 해석에 높은 전문성이 요구됨
검사자나 상황변인의 영향을 받아 객관성이 결여됨
46. 심리검사 선택시 고려사항- 상담의 목적과 심리검사의 목적 간 일치성을 확인해야 한다
- 검사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인된 표준화 검사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 검사비용, 검사의 가독성, 검사받는 시간 및 채점의 용이성
- 내담자에게 검사 선택권을 주어야 한다
47. 심리검사 결과 해석시 유의사항-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한다
- 해석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을 고려한다
- 방어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립적이고 무비판적인 자세를 갖는다
- 주관적 판단은 배제하고 중립적인 입장을 취한다* 틴즐리와 브래들리가 제시한 검사결과 검토와 해석 단계
검토단계 - 제1단계 이해단계 제2단계 통합단계 21-3
해석단계 - 제1단계 해석 준비단계 제2단계 수용준비단계 제3단계 정보전달단계 제4단계 추후활동단계
48. 심리검사 사용의 윤리적 문제와 관련하여 주의하여야 할 사항
- 평가기법 이용시 충분히 설명한다
- 새로운 기법 개발시 기존의 과학적 절차를 충분히 따라야 한다
- 평가 결과 보고시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모든 제한점을 지적한다
- 평가 결과가 시대에 뒤떨어질 수 있음을 인정한다
- 검사 사용 과정과 프로그램의 타당도에 대한 적절한 증거를 갖출 수 있도록 한다
- 적절한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들이 심리검사 기법을 이용하지 않도록 한다출처 : 직업상담사 2급 한권으로 끝내기(2020)(시대에듀) 시대고시기획/이용석
반응형'독학_직업상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심리학/직무분석이론 (0) 2022.03.24 직업심리학/주요 심리검사 (0) 2022.03.22 직업심리학/신뢰도, 타당도 (0) 2022.03.22 직업심리학/규준과 점수해석 (0) 2022.03.22 직업심리학/직업심리검사 (0) 2022.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