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직업심리학/신뢰도, 타당도
    독학_직업상담사 2022. 3. 22. 12:40
    반응형





    29. 신뢰도 추정하는 방법 3가지 21-3

    검사-재검사 신뢰도
    (안정성 계수)
    동일한 검사를 동일한 수검자에게 시간간격을 두고 두 번 실시하여 얻은 두 검사 점수들 간의 상관계수에 의해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
    동형검사 신뢰도
    (동등성 계수)
    새로 개발한 검사와 동형의 검사를 하나 더 개발해서
    두 검사 점수 간의 상관계수에 의해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
    반분신뢰도
    (동질성 계수)
    한 검사를 두개의 검사로 나눈 다음
    두 부분의 점수 간 상관계수에 의해 신뢰도를 추정하는 방법



    30. 검사-재검사를 통해 신뢰도를 추정할 경우 충족되어야 할 조건

    일정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할 수 있어야 한다
    앞서 받은 검사 경험이 뒤에 받은 검사의 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확신이 있어야 한다
    검사와 재검사 사이의 어떤 학습활동이 두번째 검사의 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가정할 수 있어야 한다



    31. 검사-재검사법으로 신뢰도 추정치를 구할 경우 주요 단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1 21-2

    성숙효과 두 검사 사이의 시간 간격이 클 경우 측정대상의 속성이나 특성이 변화 할 수 있다
    반응민감성 검사를 치르는 경험이 후속 반응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월효과 (기억효과) 시간 간격이 짧을 경우 답을 기억해서 뒤의 응답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시간 및 비용 소요 두 번 실시함으로 시간과 경비가 이중으로 든다



    32. 동형검사 신뢰도의 단점

    - 완벽한 동형검사를 제작하기 어렵다

    - 연습효과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33. 반분신뢰도 추정을 위한 주요 방법

    전후절반법
    (전후양분법)
    문항을 전반부 후반부로 나누는 방법
    기우절반법
    (기우양분법)
    검사의 문항을 짝 홀수로 나누는 방법
    짝진 임의배치법
    (임의적 짝짓기법)
    통계치를 작성하여 가까이 있는 두 문항까리 짝을 짓고 임의로 선택하여 양분하는 방법
    난수표법 검사의 문항수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반으로 나누는 방법



    34. 지필검사나 관찰 혹은 면접시 채점자, 평정자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의 유형

    후광효과로 인한 오류 수검자에 대한 채잠자의 인상이 채점이나 평정에 영향을 미침
    관용의 오류 일반적으로 후한 점수를 주는 경향
    중앙집중경향의 오류 중간 점수를 주는 경향
    논리적 오류 관련이 있는 다른 특성의 평정에 영향을 미침



    35. 심리검사의 신뢰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21-1 21-2

    개인차
    문항수
    문항반응 수
    난이도
    검사시간

    응답자 속성의변화
    검사시행후 경과시간



    36. 심리검사의 신뢰도를 높이는 방법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한 방법)

    1. 검사의 실시와 채점 과정을 표준화하여 오차변량을 줄인다

    2. 검사의 문항 수를 늘린다

    3. 신뢰도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항들을 제거한다



    37. 타당도의 종류 2022년 실기 1차 출제 22-1

    내용타당도 전문가 입장에서 측정하려는 것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의미한다
    준거타당도 검사가 예측하고자 하는 준거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의 정도를 의미한다
    구성타당도(구인타당도) 검사의 이론적 구성개념이나 특성을 얼마나 잘 측정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안면타당도 일반인이나 수검자에게 검사가 타당한 것처럼 보이는가를 나타낸다



    38. 준거타당도 21-1

    - 측정할 심리검사와 예측하고자 하는 특정 준거와의 관련성 정도를 나타내는 타당도
    - 선발,배치,훈련 등의 인사관리에 관한 설득력 제공, 특정준거를 통해 미래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
    동시타당도
    (공인타당도)
    피검자의 현재의 행동이나 특성을 얼마나 충실하게 측정하느냐의 정도이다
    예)외국어 시험에서 텝스와 토익 점수가 모두 높다면, 토플점수 또한 높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예언타당도
    (예측타당도)
    제작된 검사로부터 얻은 점수와 미래에 어떤 행위와의 관계로 추정되는 타당도이다
    예)어느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그와 관련된 일을 잘 수행할 수 있을 거라고 예측할 수 있다



    39. 준거타당도가 낮은 검사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 선발이나 평가과정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

    - 인사관리에 관한 의사결정의 공정성을 저해한다



    40. 준거타당도 계수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실증 연구의 타당도 계수를 낮추는 요인)

    표집오차 표본이 모집단을 잘 대표하지 못하는 경우
    표집오차가 커지고 타당도 계수가 낮아진다
    준거측정치의 신뢰도 준거측정치의 신뢰도가 낮으면 검사의 준거타당도도 낮아진다
    준거측정치의 타당도 개념준거의 내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거나 관련 없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준거결핍, 준거오염, 준거왜곡
    범위제한 검사 점수와 준거 점수의 전체범위를 포괄하지 않고 일부만을 포괄하는 경우



    41. 구성타당도의 분석(검증) 방법

    수렴타당도 관련 있는 변수들과의 어느 정도의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상관계수가 높을수록 타당도가 높다
    변별타당도 관련 없는 변수들과의 어느 정도의 낮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상관계수가 낮을수록 타당도가 높다
    요인분석법 검사를 구성하는 문항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상관이 높은 문항들을 묶어주는 통계적 방법


    * 다속성 · 다측정방법(MTMM)
    - 한 번에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다
    - 둘 이상의 속성에 대해 서로 다른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가 어느 정도 상관관계를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출처 : 직업상담사 2급 한권으로 끝내기(2020)(시대에듀) 시대고시기획/이용석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