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업심리학/직업심리검사독학_직업상담사 2022. 3. 21. 21:14반응형
17. 심리검사의 사용목적1. 분류 및 진단 - 문제 원인을 파악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한다
2. 자기이해의 증진 -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3. 예측 - 장래 행동이나 성취 등을 예측하여 대안적 조치를 마련한다
18. 심리검사의 실시방식에 따른 분류 3가지1. 속도검사와 역량검사
2. 개인검사와 집단검사
3. 지필검사와 수행검사
19. 심리검사의 사용목적에 따른 분류 21-1 21-3규준참조검사 (상대평가) 준거참조검사 (절대평가) 개인의 점수를 유사한 다름 사람들의 점수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어떤 수준인지를 알아보는 검사이다.
예)선발검사, 대학수학능력시험, 적성검사, 성격검사 등검사 점수를 어떤 기준점수와 비교해서
이용하려는 검사이다.
예)운전면허시험, 국가자격시험 등
20. 심리검사의 측정내용에 따른 분류극대수행검사
=인지적검사 (성능검사)습관적 수행검사
= 정서적검사 (성향검사)정답이 있으며, 시간제한이 있다
일부의 능력을 측정
지능검사, 적성검사, 성취도검사정답이 없으며, 시간제한이 없다
정서, 흥미, 태도, 가치등을 측정
성격검사, 흥미검사, 태도검사
21. 심리검사의 검사장면에 따른 분류 21-3축소상황검사 실제 장면에서의 구체적인 과제나 직무를 축소시킨 검사 모의장면검사 실제 상황과 거의 유사한 장면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놓은 검사 경쟁장면검사 작업장면과 같은 상황에서 경쟁적으로 문재해결을 요구하는 검사
22. 직업상담에 사용되는 주요 질적 측정도구자기효능감 척도 (질적 측정도구) 직업카드분류 (카드분류) 직업가계도 (제노그램) 역할놀이 (역할극) 출처 : 직업상담사 2급 한권으로 끝내기(2020)(시대에듀) 시대고시기획/이용석
반응형'독학_직업상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심리학/신뢰도, 타당도 (0) 2022.03.22 직업심리학/규준과 점수해석 (0) 2022.03.22 직업심리학/발달이론Ⅲ (0) 2022.03.21 직업심리학/발달이론Ⅱ (0) 2022.03.21 직업심리학/발달이론Ⅰ (0) 2022.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