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직무분석의 용도 (직무분석의 목적) 모집 및 선발 배치 및 경력개발 교육 및 훈련 인사고과 정원관리 안전관리
2) 직무기술서에 포함되는 정보 5가지 직무의 명칭, 보고체계, 임금 과 같은 직무 정의에 과한 정보 직무의 목적 이나 사명 직무에서 산출되는 재화나 서비스에 관한 직무 요약 직무에 사용되는 기계, 장비 직무가 이루어지는 물리적,심리적,정서적 환경
3) 직무분석의 방법
직무분석 방법
최초 분석법
면담법(면접법) : 조직도, 업무분담표등을 자료로 하여, 개별적 혹은 집단적으로 면접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질문지법 : 질문지를 통하여 직집 직무내용을 체크하거나 평가하도록 하는 방법 중요사건기법(결정적사건,결정적분석) : 직무수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건이나 사례를 중심으로 직무를 분석하는 방법/주로 감독자에 의해 수행 관찰법 : 분석가가 직접 작업장을 방문하여 작업자가 수행하는 직무활동을 관찰하여 결과를 기술하는 방법 체험법 : 분석가가 스스로 직무활동을 수행하며 자료를 얻는 방법
그룹 토의법
데이컴법 브레인스토밍법
비교 확인법
비교확인법
4) 중요사건 기법(결정적 사건법의 단점) 일상적인 수행에 관한 지식, 기술, 능력이 배제될 수 있다 응답자들이 과거에 일어났던 결정적 사건들을 회상할 때 그 사건을 왜곡하여 기술할 가능이 있다. 특별히 훈련받은 사람이 필요하다. 수집된 자료를 분류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다 직무와 관련된 자료수집에 어려움이 있다. 추론과정에서의 직무분석가의 주관이 개입될 가능성이 있다
5) 직무와 조직에서의 주된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
과제특성
업무가 단조롭거나 너무 많을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 요인이다
역할갈등
역할다담당자가 자신의 지위와 역할전달자의 역할기대가 상충되는 상황의 스트레스 요인이다 (개인 간 역할갈등,개인 내 역할갈등,송신자 간 갈등,송신자 내 갈등)
역할의 모호성
직무가 모호할 때 발생하는 스트레스 요인이다
역할과다 또는 역할 과소
기대와 직무가 요구가 역할담당자의 능력을 벗어날때는 역할과다가 나타나고 역할담당자의 능력을 활용하지 못할 때 역할과소가 나타난다
산업의 조직문화와 풍토
집합주의, 개인주의 산업문화의 충돌은 근로자에게 스트레스원이 된다.
6) 직무스트레스의 매개변인(조절변인) A/B 성격유형 : A유형 행동은 극단적이고 성취지향적이어서 여유롭고 느긋한 B유형보다 스트레스를 쉽게 받음 통제의 위치 : 외재적 통제유형이 내재적 통제유형에 비해 더 쉽게 스트레스를 받음 사회적 지원 : 사회적 지원에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더하기도 하고 덜하기도 함
7) 직무스트레스로 인해 나타나는 행동적결과 분노와 공격성 우울증 직무수행감소 이직 및 결근 직무 불만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