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력서에 만 나이 쓰는 법 만나이 계산법정책정보 2023. 6. 1. 11:48반응형
만나이
출생일을 기준으로 0살로 시작하여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하는 나이 계산법
2023년 6월 28일부터 나이를 통일하여 사용하는 제도가 시작됩니다.
평소에 헷갈렸던 나이 계산법을 알아두어 이력서에도 만 나이를 표기하시기 바랍니다.
만 나이 계산법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올해의 나이는'이번 연도 - 출생 연도 - 1'
로 계산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6월을 기준으로
1990년 10월생은
'2025 - 1990 - 1'로 계산해 만 34세입니다.
만약 생일이 지났다면‘이번 연도-출생 연도’
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6월을 기준으로
1990년 4월생은
'2025 - 1990'로 계산해 만 35세입니다.
만 나이 통일법
일상생활에서의 나이로 인한
혼란을 없애고 법적으로 사용하는
나이를 통일하는 제도입니다.
이력서에 만 나이 기재하기
한 번씩 헷갈리게 되는 만 나이 통일법에 대해 알아두셨다가 취업을 위한 이력서나 채용 응시서류 등에 만 나이를 기재하세요
만 나이 계산기
만 나이에 대한 더 궁금한 내용을 확인하시거나
나이 계산을 바로 하고 싶으시다면
법제처로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정책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바이트 전 필수 상식 2023년 최저임금 최저시급 주휴수당 (0) 2023.06.03 고용노동부 지역별 상담전화 민원문의 전화번호 (0) 2023.06.02 2023년 근로장려금 ·자녀장려금 계산 바로가기 (0) 2023.05.06 2023년 근로장려금 산정표 자영업자도 신청가능 (0) 2023.05.01 2023년 근로·자녀장려금 정기분 반기 신청 안내 (0) 2023.04.30